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폭염경보 비상대응(행안부) 알아보기!

by livingmood 2025. 7. 3.

벌써 폭염 ‘경계’ 단계? 여름이 시작도 안 했는데 이렇게 더울 수 있나요? 🌡️
정부가 본격적인 비상 대응에 돌입했습니다. 지금 이 글을 보는 당신, 이미 늦은 걸 수도 있어요.
올여름을 안전하게 보내려면 지금 바로 행동해야 합니다!

 

 

 

폭염경보 관련 이미지

2025년 여름, 폭염 '경계' 단계 돌입

2025년 6월 30일, 행정안전부는 폭염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했습니다.
전국 183개 특보 지역 중 무려 79%에서 폭염 특보가 발령된 상태이며, 서울, 대구, 광주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체감온도 33도 이상이 3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보되고 있습니다.



폭염 위기경보 단계별 기준표

단계별 대응 기준을 알아두면, 상황 파악과 대응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단계 기준 주요 대응조치
관심 폭염 가능성 사전 준비 및 예보 확인
주의 체감온도 33도 이상 2일 이상 지역 중심 대응, 주의보 발령
경계 체감온도 33도 이상 3일 이상 + 특보구역 40% 이상 전국 단위 대응체계 가동
심각 대규모 피해 예상 범정부 비상대응 및 지원 확대



폭염! 취약계층 보호가 가장 시급

정부는 폭염으로 인한 사망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보호대책을 추진 중입니다.

 

  • 홀몸노인, 실외근로자, 농업인 대상 집중 보호
  • 무더위쉼터 확대 운영
  • 산업현장 안전관리 강화
  • 농축수산업 보호 조치 시행

 

전국 5만 개 무더위쉼처, 이렇게 찾으세요!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 무더위쉼터에서 식혀보세요. 이용은 누구나 가능하며 다음을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 행동요령 요약 -  이것만은 꼭!

구분 행동수칙
실외 12~17시 외출 자제, 챙 넓은 모자 착용
실내 온도 26~28도 유지, 환기 및 냉방기 활용
수분섭취 미지근한 물을 자주 마시기
차량 노약자·아이 방치 절대 금지
건강 두통·어지럼증 발생 시 즉시 그늘진 곳으로 이동, 필요시 119 신고



Q&A

Q1. 무더위쉼터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나요?
A. 네,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주민센터 또는 지자체에 문의하세요.

 

Q2. 외출을 꼭 해야 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오전 일찍이나 해가 진 뒤에 외출을 계획하고, 챙이 넓은 모자와 물병을 꼭 준비하세요.

 

Q3. 거동이 불편한 가족이 있는데, 지원받을 수 있나요?
A. 각 지자체는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방문 돌봄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

 

Q4. 건설 현장 근무자도 특별 지원이 있나요?
A. 사업장은 근로자에게 탄력적 작업시간 운영과 냉방 제공이 권고되고 있으며, 정부 가이드라인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Q5. 에어컨 사용이 어려운 가정은 어떻게 하나요?
A. 가까운 무더위쉼터를 적극 이용하고, 전기요금 감면 대상인지 확인해 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국민 모두가 폭염 대응의 주체 입니다.

폭염은 자연재해 중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재난입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도 중요하지만, 결국 우리 각자의 준비와 실천이 생명을 지킵니다.
지금 바로 가족과 이웃에게 무더위쉼터 정보를 공유하고, 119 신고 요령도 함께 익혀두세요.
당신의 작은 행동이 큰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